인사실무15 실업급여 수급자격과 2019년 지급액(상한액, 하한액) 1. 실업급여란?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어 재취업 활동을 하는 동안 일정 기간 급여를 지급하는 공적 급여제도이다.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돕고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크게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으로 나뉜다. (출처=고용보험 제도 누리집) 2. 구직급여 보장성 강화 정부는 든든한 고용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고용보험의 적용을 확대하고, 실직자의 안정적인 재취업 준비를 돕고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구직급여 보장성을 강화해 왔다. ① 고용보험 적용 확대- 자영업자 → 개업일(5년 이내)과 관계없이 가입 가능- 소정 근로일이 주 2일 이하이고 소정 근로시간은 주 15시간 미만인 근로자는 피보험단위기간 요건을 이직 전 18개월간 180일 이상 → 이직 전 24개월간.. 2020. 2. 29. 육아휴직 후 복직하면 연차는 어떻게 되나요? 육아휴직 후 복직하면 연차는 어떻게 되나요? 고용노동부 2020.02.28 To. 척척박사님 저는 육아휴직에서 복귀를 앞둔 워킹맘 무지입니다. 최근 어린이집 휴원으로 당분간 휴가를 더 내야 하는데, 육아휴직 후 연차가 얼마나 남았는지 궁금합니다. From. 엄마가 처음인 무지 연차휴가 산정에 육아휴직 기간은 법적으로 출근기간으로 계산되므로 연차 일수에 영향이 없습니다. 따라서 육아휴직 후에도 15일상 25일 한도의 근속연수에 따라 연차가 보장됩니다. 육아휴직 후가 걱정이라면,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도 활용해 보세요. ◆ 아빠 육아휴직보너스제란? 같은 자녀에 대하여 부모가 순차적으로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 두 번째 사용한 사람의 육아휴직 3개월 급여를 통상임금의 100%로 상향 지급 (상한 250.. 2020. 2. 29. 작업복(유니폼, 근무복) 비용 급여공제에 대해서 입사 후 짧은 기간 근로 후 퇴사하는 경우 제공한 작업복 비용을 급여에서 공제 할 수 있을까요? 회사측, 근로자측 누군가의 편을 드는게 아니라 법적으로 어떻게 정리하는게 맞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작업복 비용을 급여에서 공제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합니다. 현행 근로기준법상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유니폼을 무상으로 지급할 의무는 없습니다. 조건 1. 근로계약서상에 피복비의 공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거나,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에 정한 규정이 있다면 임금에서 실비변상에 해당하므로 가능하다. 조건 2. 업무에 투입되기 위해 필요한 안전용품 또는 업무 용품이 아니어야 합니다. 안전장구류나 업무상 필요한 용품은 개인이 구비해야 하는 개인용구가 아니라 사용자측에서 지급해야 하는 물품이기 때문입니다.. 2020. 2. 29. 이중취업(투잡)과 4대보험 요즘은 주3~4일 근무 형태 또는 재택근무를 하시는 분들도 많이 생겼습니다. 이런 여유 시간을 이용해서 투잡을 하는 경우 4대보험과 유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이중취업 시 4대보험과 국민연금 *이중 취업 시에 두 군데의 사업장에 모두 의무적 가입의 하여야 한다는 뜻입니다. 선택 할 수 있다는 뜻이 아닙니다. 2. 이중취업 시 문제점 1) 다니는 회사에서 취업규칙으로 겸직(이중취업)을 금지하는 조항이 있을 시에는 회사에 승인을 득한 후 취업하는게 좋습니다. '겸직금지규정'을 근거로 징계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겸직금지규정 위반을 사유로 한 징계의 정당성 여부는 ① 사용자의 묵인여부 ② 다른 회사의 취업시간, 기간의 장단 ③ 다른 종업원의 작업의욕 감퇴가 있었는지 여부 ④ 다른 직원의 업무부담.. 2020. 2. 29. 권고사직으로 인한 실업급여 수급 경기악화로 인한 경영상의 이유로 인해 직원들을 권고사직을 시키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근로자로서 권고사직을 권유 받았을때 챙겨봐야 할 점과 회사가 받게 되는 불이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권고사직이란 근로관계의 종료 사유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본인의 의사로 인한 퇴직(이직으로 인한 사직, 합의 퇴직, 명예 퇴직), 본인의 의사와 상관 없이 회사에서 강제로 집행하는 해고(통상해고, 징계해고, 정리해고) 그리고 근로자나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자동소멸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근로관계 종료사유 이 중에서 권고사직은 퇴직-합의해지에 해당합니다. 경영상의 이유로 인원감축을 목적으로 근로자에게 퇴직을 '권유'하는 것이죠. 이 '권유'를 받아 들이게 된다면 권고사직으로 처리가 되고 거절 할.. 2020. 2. 29. 이전 1 2 3 다음